스파르타 코딩 클럽에서 단기적으로 진행중인 [힙한 취미 코딩 이벤트]의 무료강의중 하나인 파이썬 웹크롤링 강의를 수강중이다. 일전에 유투브를 통해서 셀레니움, 뷰티풀숩 등으로 크롤링을 시도했지만 파이썬 기본문법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부족해 매번 실패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제대로 배우고자 크롤링 강의를 무료로 수강하게 됐다.
대학교에서 business programming 과목을 통해 python 기본 문법을 배웠지만, 충분한 이해를 하지 못해 이번 기회를 통해 python에 대한 복습을 하고자 했다.
스파르타 코딩클럽 5만 원 할인 쿠폰 링크 💵
아래 링크를 통해 가입하시면, 즉시 5만원 할인 쿠폰이 발급됩니다!
* 아래의 모든 코드는 m1 맥북을 기준으로 합니다.
python 기본 문법
## 1-2 파이썬 시작하기
print ('hello sparta')
기본 연산
## 1-3강 파이썬 기초 공부 a = 2 # 프로그래밍에서 a = 3 의 의미는 a에 3을 넣어라 b = 3 a+b # 숫자 연산시키면 값이 연산된다.
문자와 숫자
first_name = 'kimkim' # 문자열은 '' 따옴표를 써줘야 한다. 숫자 / 변수는 그냥 써주면 된다. last_name = 'hoho' print(first_name + last_name) # 문자열 더하기 문자열은 단순히 붙어서(연결돼서) 나온다
print(str(3)+'kikkik') # 문자열과 숫자열은 더할 수 없다. 문자와 숫자를 더하려면 숫자를 문자로 바꿔줘야 함
변수명 지정 스타일 (코드 컨벤션)
# 회사마다 변수명 쓰는 방법 (코드 컨벤션)이 있다. # lastName : 카멜 # last_name : 스네이크
리스트
# 파이썬에서 숫자는 0,1,2,3 순서로 센다 a_list = ['사과', '감', '배'] # 여기서 사과, 감, 배는 각각 0,1,2번째 위치이다. print(a_list [1])#리스트 내의 1번 위치인 감을 출력한다.
b_list = ['영희', '철수', ['사과', '감']] print(b_list [0])# 리스트 내의 0번째인 영희를 출력한다. print(b_list [2][0])# 리스트 내의 리스트의 위치는 [][]를 연결해서 작성해서 표기한다. 사과가 출력된다. a_list.append('김치') # list에 요소를 추가하고 싶을 때 append 함수를 연결해서 써주면 된다. print(a_list)
딕셔너리
# dictionary 형태 - 구조 {키 : 벨류, 키 : 벨류,... } a_dict = {'name' : 'bob', 'age':24} print(a_dict ['name'])# dictionary 형에서는, key값을 입력하면 value를 출력한다. a_dict['height']=189 #dictionary에 값 추가하기 - 구조 : [key값] = value 값 print(a_dict)
a_dict['fruits'] = a_list #dictionary에 리스트 추가하기 - key값은 fruits, value값은 list print(a_dict) # dictionary value 값에는 리스트를 넣을 수 있다. key값에는 못넣는다. a_dict['fruits'] # 딕셔너리 내에 리스트를 출력하기 = 딕셔너리 내에 리스트를 벨류값으로 갖고있는 키값을 출력요청 a_dict['fruits'][0] # 딕셔너리 내에 리스트내에 수박을 출력하기
조건문 if
age = 24 if age > 20: print('성인입니다') else: print('청소년입니다')
반복문 (for 문)
# 반복문 : 리스트에서 하나씩 빼서 쓰는것이다. fruits = ['사과','배','배','감','수박','귤','딸기','사과','배','수박'] for fruit in fruits: # fruits 안에있는 요소들을 fruit라고 할거야. 그리고 요소들을 순서대로(0,1,2,3...) 꺼낼거야 print(fruit) # 꺼낸 요소 fruit 을 출력해
# 리스트를 쭉돌리는데, 내부변수가 '사과'와 같을때 그 변수를 출력해라 for fff in fruits: # 이번엔 fruits리스트 안의 요소를 fruit 라고하지않고 fff라고 할거야, 변수명은 정하기 나름이다 if fff == '사과' : print(fff)
# count 가 0으로 시작하는데, 리스트내의 변수가 '사과'와 동일할때마다 count를 1씩올려줘. 그리고 그 count를 출력해줘 count = 0 for fruit in fruits : if fruit == '사과' : count += 1 print(count)
# dictionary 를 포함한 리스트 형태에서 for문 돌리기 people = [{'name': 'bob', 'age': 20}, {'name': 'carry', 'age': 38}, {'name': 'john', 'age': 7}, {'name': 'smith', 'age': 17}, {'name': 'ben', 'age': 27}]
for x in people: # 모든 사람의 이름과 나이를 출력해봅시다. print(x['name'],x['age']) # people이라는 리스트 속의 요소를 x라고 했는데, 그 요소의 key 값이 name 일때와 age일때의 vlaue값을 순서대로 출력해라
** 개발 프로그램은 하드 한 내용이 아니라 간단한 데이터 마이닝, 인공신경망 분석 등 베이식 한 툴과 방법론 적용에 그치는 수준이었음에도 버벅거림이 분명히 발생했다.
*** 가끔 버벅댈 때가 있다. 스파이더는 파이썬 에디터 중에서도 무거운 편에 속해서, 도저히 줌이랑 같이 쓸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서 삭제하고 파이 참으로 갈아탔다. 파이 참이 훨씬 리소스를 덜 먹는 것 같다. 글을 쓰거나 코딩을 하는데 버벅대고 반응이 느리거나 한다면 램 문제인 경우가 많다. 이럴 때 비주얼 스튜디오랑 파이 참을 추천한다.
또, 이럴 때 버벅댈 거다.
파이썬(스파이더) 보다 높은 리소스를 요하는 프로그램들이랑 같이 쓰면 높은 확률로 버벅댈 것이다.
예) 줌 + 디자인/영상 프로그램 (3D MAX, 캐드, 라이노, 스케치업, 레빗, 프리미어, 애프터 이펙트 등)
따라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대학생인데
줌을 통해서 강의를 들으며
위의 디자인 프로그램을 써야 하는 사용자라면,
8기가만으로는 불편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램 증설 필요한가?
하면 좋다고 생각한다.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위처럼 애플은 어려운 말로 램 증설이 꼭 필요하다고
솰라솰라 얘기하고 있다. 하지만, 저런 게 아니고
어떤 용도로 쓸 것인지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지표를 주는 게 의미 있지 않을까.
M1 성능이 그렇게 좋다던데?
기존 인텔 맥 대비
M1 칩의 성능은 정말 좋다.
으마으마하게 빠르고 불편이 없다.
애플 특성이 최적화가 잘 되어있어서
같은 램 용량이더라도 윈도나 안드로이드 대비해서
더 높은 퍼포먼스를 낸다.
이는 반대로, 같은 램 용량이라면 안드로이드보다
애플 제품들이 더 성능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근데 그것도 어디까지나 일반적인 이야기고,
deep 하게 들어가면 다른 것 같다.
자! 견줘보자고.
[램 8 -> 16GB] 증설 vs [SSD 256 -> 512GB] 증설
둘 다 270,000+ 원, 근데 누가 나은가?
하나.
저장 장치 SSD의 용량 증설은
256기가에 256기가를 더 해 512기가가 되는 데에,
가격이 270,000원이다.
저장 장치를 대체할 수 있는 아이클라우드와 비교해보자.
애플 공식 홈페이지의 아이클라우드 가격을 보면
위의 용량 차이인 256 GB와 비슷한 200 GB를
증설하는 데에 3,300원/월의 비용이 든다.
단 여기서,
맥북은 특성상 3~4년 정도는 기본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점을
반영했을 때
사용기간을 4년으로 가정 시,
4년 * 12개월 * 3,300원 = 158,400원
사용기간을 6년으로 계산해도,
6년 * 12개월 * 3,300원 = 237,600원
웬만한 용량으로 계산해도
아이클라우드로 저장용량을 대체하는 것이 이득이다.
256기가 증설 (256 -> 512)
아이클라우드 4년 사용 가정
아이클라우드 6년 사용 가정
270,000원
158,400원
237,600원
그니까 SSD 업그레이드하지 마. 램 업그레이드 해. 같은 돈으로
저장용량은 클라우드로 대체가 가능하다.
아이클라우드가 편할 거고 그게 아니어도,
구글 드라이브 드롭박스 등 많다.
그런데 램은?
램은 이번에 사면, 증설이 전혀 불가능하다.
따라서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하나. 저장용량 올릴까 램 용량 올릴까 걱정된다면 램을 올리자.
둘. 디자인/영상/개발 프로그램을 사용한다면, 램을 꼭 올려야 한다.
셋. 깔짝이는게 아니라 디자인/영상/개발을 본격적으로 한다면 GPU가 고성능으로 달려있는 맥북 프로 모델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