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 - 유난한 도전

 

책을 사게 된 동기

현시점 한국에서 가장 '프로덕트'를 잘 만드는 팀은 어디가 있을까? 에 가장 먼저 생각난 게 '토스'였다.

가장 프로덕트를 잘 만드는 팀은 프로덕트를 어떻게 만드는지, 어떤 방식으로 일하는지 궁금해졌다. 그래서 이승건 대표의 PO SESSION을 듣기 시작했고,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어서 토스팀에서 발간한 <유난한 도전>을 구입해 보게 됐다.

 

책의 내용은 대단히 토스의 영웅서사를 담은 듯하다. 전쟁에서 승리한 국가가 남긴 역사서 한쪽 같은 느낌이랄까. 

 

토스의 시작과 고난, 극복의 이야기를 통해 내가 지난 몇 년간 일했던 팀에서, 왜 그렇게 어려움들이 있었는지, 왜 그때 그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는지를 깨닫게 되었다. 그냥 토스가 알고 싶어서 산 책이, 내 과거에 대한 회고를 하게 해 준 좋은 책이었다.

 

그 이야기를 부분 부분 여러 레슨런으로 나눠서, 내용을 발췌해서 조금씩 적어두려고 한다.


 

"사람들이 오프라인 만남을 앱에 기록하고 싶을 것이라는 첫 번째 가설이 틀렸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못했다"

PO로 일하면, 스스로는 계속 확신을 가져야만 한다. 내가 가설을 가지고 타인을 설득하고, 실험하고 깨지고를 반복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스스로 갖게 되는 '확신'이 굉장히 위험한 것인데, 이승건대표도 같은 단계를 거친듯하다. 내가 생각하는, 상상하는 세상은 정확하게 내 머릿속에만 있을 가능성이 높다. PO는 내가 생각한 가설을 감히 확신하지 않아야 한다. 그럴 수도 있겠다, 하지만 틀릴가능성이 더 높다.라고 전재해야 위험한 판단을 지양할 수 있다.

 

EO의 클래스 101 대표 인터뷰 영상을 보면, 처음 PMF를 찾은 순간 "드디어 우리가 시장에 왔어"라는 말이 나온다. 팀이 가지고 있었던 여러 가설 중에 한 가지가 실제 마켓에, 고객에게 워킹한 그 순간의 짜릿함 환희를 표현한 것이다. 여기서 '드디어'라는 말을 통해서 우리는 그 어려움을 예상할 수 있다. 

 

나의 생각이 고객에게도 동일하게 있을 가능성은 0에 가깝다. 그렇기에, 항상 의심해야 하고, '무조건'이라는 과한 확신을 지양해야 한다. PMF를 찾는 팀이라면, 우리는 언젠가 '드디어' 그곳에 도착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너무 쉽게 도착하게 되면 옳게 도착한 것이 맞는지 의심해 보는 게 건강할 것 같다.

 


 

책링크는 쿠팡 파트너스 링크입니다. 쿠팡 파트너스 링크를 통해 제품을 구입할 경우, 소정의 수수료를 부여받습니다. 

블로그를 운영하는 원동력으로 사용되며, 쿠팡 파트너스 링크와 글의 내용은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전기자동차는 R&D 특성상 비슷한 성능을 가진 동급의 내연기관차에 비해 더 비싸다.

그러나, 전기자동차가 더 가난한 자동차라고 생각한다. 그 이유를 남겨보려고 한다.

 


 

이미 완전한 자산규모를 가진 수억 수조 원의 부유층이 아닌 이상, 자본소득이든 근로소득이든 시간당 소득이 중요하다.

시급을 의미한다.

 

1시간에 80,000원을 버는 사람은, 1시간이 10,000원 버는 사람보다 8배 더 부자가 되거나, 8배 더 부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수익적인 관점에서 시급은 그 사람의 시간당 가치를 의미한다.

 

시급 = 1시간에 얼마의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가?


 

서울에서 부산을 갈 때, 내연기관차는 네비에 찍힌 시간만큼만 가면 된다. 6시간 정도.

그렇지만, 전기차는 중간에 충전시간을 고려해서 8시간 정도를 잡고 간다.

여기서, 내연기관이 아니라 전기차를 선택함으로 인해 2시간의 손해가 발생하는 것이다.

 

만약 내연기관차를 선택했다면 2시간의 손해를 막을 수 있다는 뜻이다.

 

충전을 위해 일정량 시간을 사용해야 하는 현재 전기차 충전의 한계 때문에, 전기차 사용자는 반복적인 시간 손해를 겪는다.

이 때문에, 전기차를 타는 사람들은 저런 충전 텀이 올 때마다, 2시간씩 나의 시간당 가치를 손해 본다고 볼 수 있다.

 

즉 시간당 가치(시급)가 높을수록, 전기차 이용을 통해 잃은 손해는 커지게 될 것이다. 

 

나의 시간이 무한히 영원하고, 값이 저렴하다면 전기차가 더 합리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대다수의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은 의사결정일 수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나는 전기자동차가 더 가난한 차라고, 가난한 사람을 위한 차라고 생각한다.

 


위와같은 시간당 가치의 관점에서,

전기차를 소비하는 고객은 대부분 지금의 높은 전기차 가격에도 지불의사가 있는 이들인데, 높은 지불의사를 가졌다는 건 높은 비즈니스 능력을 가졌다는 것이고, 이는 높은 시간당 소득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전기차는

시간당 소득이 높은 사람들만 살 수 있는 차량인데,

시간당 소득이 높은 사람들은 탈 수록 손해를 더 많이 보는 차량이다.

 

이 역설이 해결되어야 더 많은 시장에서 수용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전기차는 푸어카?

 

나는 원래 목표를 잘 세우는 편이 아니다. 

그 이유는 목표를 세워봐야 잘 이뤄지지도 않고, 목표를 계속 바꾸고 스스로 합리화하는 과정들이 더 피로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올 2023. 09. 오랜만에 목표를 세웠다. 내용은 '수익 증대'였다. 

목표를 세우지 않기로 스스로 약속(?) 했던 내가 목표를 세우게 된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목표가 생겨서였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는, 얻고자 하는 바가 생겼고 단기간에 얻을 수 없으니 구체적인 이니셔티브를 세운 것이다. 

 

어쩌면 이제까지 내가 목표를 세우지 않는 것을 고집했던 것은, 취하고 자하는 바가 없었거나, 정신적으로 피로했기 때문 일지 모르겠다. 

 

수익증대 하기 위해서 아래의 이니셔티브들을 나열했다.

 

모든 것은 수익을 증대시키는 하나의 골에 맞춰져 있었고, 장/단기적으로 사이드프로젝트, 새로운 파이프라인 성장, 커리어 성장 이렇게 나눠져 있었다. 

 

하지만 2023.12.31 기준으로, 14개의 이니셔티브 중 Done으로 완료한 것은 단 2개밖에 없다. 

가장 어려운 이직하기와 가장 쉬운 Social Media 만들기 단 두 가지뿐이다.

: 14%의 목표달성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나는 왜 14% 밖에 달성하지 못했을까? 원인을 생각해 보자.

 

1. 이직하기 하나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도 벅찼다.

같은 레벨로 14개가 작성되어 있지만 실제적으로 이직완료하기는 다른 것들보다 사이즈가 훨씬 컸고 들어간 공수가 사이즈가 달랐다. 

 

> 다음에는, 이니셔티브를 설정할 때, 그 태스크의 사이즈를 잘 고려해야 할 것 같다. 너무 큰 것은 더 적게 쪼개서 적어야 한다. 

 

2. 사실 이니셔티브들이 무엇이 있었는지도 아예 까먹었다.

연말 분위기가 물씬 나던 어느 날 나는 올해 뭐 했지? 뭔가 적어놨던 것 같은데?를 생각하게 된 그 순간 전까지 나는 이 이니셔티브들을 아예 기억하지 못했다. 

 

> 이니셔티브들을 계속 기억하고 내가 진행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노션 홈 또는, 맥북/폰의 위젯으로 이니셔티브들의 진척상황을 노출시켜, 스스로 계속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3. 이니셔티브에 적어두지 않은 다른 것들을 했다.

이니셔티브에 적어두진 않았지만, 같은 목표를 위해서 했던 프로젝트들이 있다. 크진 않지만 유의미한 파이프라인이 되어주었다. 

이것도 결국 2의 문제에서 파생되었다고 생각한다. 

 

> 이니셔티브의 변동이 있을 때는 미리미리 반영해 두자. 실현/액션 가능성이 높은 이니셔티브를 적자.


오브젝트

 

2023년 하반기는 14% 밖에 안 되는 이니셔티브 달성율을 보였지만, 그것보다 많은 것을 취하고, 도전한 시간이었다.

2024년 한 해도 나에게 기억에 남는 것들이 많은 시간들이 되었으면 한다.

 

고민을 그만하고 할 일을 정해보자.

 

Objective 1 : 총소득을 늘리기.

 

1) Key Result 1 : "올해 안에 이직 완료하기 100%" : HOLD

이직을 하려고 했다. 몇 개는 면접도 보고 합격도 했는데, 원하는 규모의 회사는 합격하지 못했고 공고도 없는 상황이다. 공고 자체가 없는 상황에서 비집고 들어갈 틈도 없고, 내 연차도 아직 시장에서 원하는 것에 비해서 낮아서, 일단 급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지금보다 작은 규모의 회사는 갈 수 있지만, 가게 되어서 만족할 것 같지 않고 오히려 커리어가 흔들릴 위험이 걱정된다. 해서, 일단 이직은 인바운드로 요청이 오지 않는 이상 올해는 홀딩하는 게 좋을 것 같다.

 

2) Key Result 2 : "부가 수익을 만들기" ( KR1의 대체재 ) : NEW

사실 KR 1이 O1의 유일한 KR이었는데, KR 1이 홀딩되면서 새로운 KR이 필요해졌고, KR2를 작성하게 됐다. 일단 강의 / 전자책을 알아보려고 한다. 전자책은 내가 쓰려는 하나의 주제가 가능한 주제인지 크몽에 문의를 한 상태이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전자책 작성 외에, 강의 진행을 다시 고려해 봐야겠다. 누군가 원하는 완벽한 강의를 만드는 게 아니라, 내가 할 수 있는 유의미한 이야기를 담는 게 중요할 것 같다. 일단 시도해 보자.

 

일단 전자책은 문의한 주제는 가능하다고 답변이 오면 쓸 거고, 생각하고 있는 다른 주제는 2023.09 안에 론칭하는 것을 목표로 써야겠다.

강의는 예전에 잡아둔 가안이 있는데, 가장 쉬운 내용으로 주제를 다시 정해봐야겠다. 

 

고 퀄을 위해 충분히 고민하는 것도 좋지만, 고민만 하다가 아무것도 안 하는 건 최악이다. 충분히 고민했다고 생각된다면 빨리 실행하자. 시간이 많지 않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