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명 : 제품 관리자와 서비스 기획자를 위한 실전 노하우 - 아낌없이 드립니다!
1강 : IT 제품 관리자의 직무 구문 (프로덕트 오너, 프로덕트 매니저, 기획자)
링크 : https://youtu.be/yHNbFSXc2 nc
창업 케이스
- 필요 구성인원 3인 : CEO, 디자이너, 개발자
- 역할
- CEO : 비즈니스
- 디자이너 : UI/UX
- 개발자 : 기술
- 세 직군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잘되는 경우 제품 관리자가 필요 없음
- 커뮤니케이션이 잘 안될 때 제품 관리자가 필요함. 초기에 CEO가 대행하는 경우가 많음
- 축구에서 미드필더에 가까움.
- 역할
- 프로덕트 출시 전
- 무엇에 대한 아이템은 있지만 어떻게 할지는 없는 상태 = PM이 결정함
- 프로세스
- 요구사항 분석
- 비즈니스 관계자(CEOor운영자) 인터뷰 -> 필요사항 확인
- 고객 분석 : 설문지, FGI
- 설계
- IA (information architecture), 정책, 프로세스, wireframe 구축
- 정책, 프로세스, wireframe을 보통 스토리보드라고 하며, 서비스 기획자의 주 업무
- wireframe의 구체화 -> 디자이너의 역할
- 출시 : 일정관리, QA
- 요구사항 분석
- 프로덕트 출시 후
- 프로덕트 내 카테고리가 여러 개 있을 경우 기획자는 하나하나씩 순차적으로 작업하며 유지 보수함
- -> 이렇게 될 경우 고객중심으로 진행하기 어려워서 각 카테고리를 담당하는 PO가 존재
- 각 카테고리마다 PO가 존재하며, 각각 개발자가 PO와 함께 소속되며 디자이너와 데이터 분석가는 각 카테고리를 서포트함
- -> 이렇게 진행할 경우 고객중심/최적화에 좋음, 동시다발적 고도화가 가능함
- -> 반면 단점은 인력비용과 분열 가능성이 있다. (팀이 다양하다 보니)
- PO의 역할
- 각 카테고리마다의 결정권을 가짐
- 제품의 로드맵을 정의
- 백로그=요구사항을 관리
- 로드맵과 백로그를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잡음
- 애자일 프로세스를 주로 업무 진행
- 제품에 관해서 필요한 내용을 EPIC / user story 포맷으로 정리함 - PO는 와이어프레임을 그리진 않고 고객에게 필요한 것을 글로 풀어냄.
- 데이터 분석, A/B테스트...
- PO의 백그라운드 : 비즈니스 전문가가 더 많음. 기획자보다는
- PO의 조직구조
- CEO 조직구조와 유사함
- PO = mini CEO라고 표현함
- PM이 필요한 경우
- 신규 프로젝트 진행
- SI/에이전시(PO X)
- 카페 24나 고도몰같은 B2B 설루션(PO X)
- PO가 필요한 경우
- B2B보다는 B2C에 필요 - 고객중심, 고객 최적 경험이 목적이므로
- B2C 내에서도 다양한 고객이 있는 경우 = 카테고리 다양화가 필요한 경우
- 프로덕트 내 카테고리가 여러 개 있을 경우 기획자는 하나하나씩 순차적으로 작업하며 유지 보수함
- PM, PO, 서비스 기획
- PM, PO 뭐든 간에 비즈니스, UX, Tech 세 가지 백그라운드 지식이 필요함
- 서비스 기획자는 조금 더 프로젝트 베이스 - 설계업무가 좀 더 많음
- PO는 프로덕트 베이스로 의사결정에 중심
'📊 study > PM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의요약] 6강 - 잘하는 기획자의 기준은 무엇인가? - 인프런 데이먼 (0) | 2021.08.18 |
---|---|
[강의요약] 5강 -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뽑은, 내 인생 최고의 Product Manager! - 인프런 데이먼 (0) | 2021.08.18 |
[강의요약] 4강 - 프로젝트 매니저와 프로덕트 매니저 - 인프런 데이먼 (0) | 2021.08.18 |
[강의요약] 3강 - B2C 프로덕트 기획 & B2B 프로덕트 기획 - 인프런 데이먼 (0) | 2021.08.18 |
[강의요약] 2강 - 기획자가 필요한 조직, 필요없는 조직! (PO, PM, 기획자) - 인프런 데이먼 (0) | 2021.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