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자일 조직 제품 관리자의 고객중심 문서 작성 가이드! (에픽, 유저스토리)
case 1 - 기획자
- 비즈니스 관계자 or 고객으로부터 요구사항 수집
- → 기획자가 분석, 설계
- 이때 설계된 문서를 "스토리보드"라고 부름 (국내에만 있음)
- 스토리보드에는 ui, 정책, 기능 명세 등이 담기게 됨
- → 이를 바탕으로 디자이너, 개발자가 작업
- 디자이너와 개발자는 주로 제작 단계에 참여
# 스토리보드
좌) ui 우) desc
case 2 - pm, po
- 비즈니스 관계자 or 고객으로부터 요구사항 수집
- → po, pm도 분석을 함. 하지만 설계를 하진 않고 고객의 목적과 행동을 정의 (왜 쓰고 뭘 불 편해하고 뭘 원하는지, 니즈) = 니즈를 중심으로 정의
- 이때 작성된 내용을 Epic, User story라고 함
- → 이 내용을 바탕으로 디자이너, 개발자가 소통해가면서 설계를 함께 진행하고 제작에도 모두 함께
# epic, userstory
문서로 구성
- 테마가 최상단에 가장 크게
- 에픽
- (flow chart)
- 유저 스토리
- 누가 무엇을 위해서 어떤 기능을 원한다. (유저의 관점에서 작성)
- acceptance criteria (인수기준)
- 제품이 최종 사용자 혹은 시스템이 제시하고 있는 요구사항을 만족하고 있는지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
- 인수조건의 가장 큰 특징은 철저하게 사용자의 관점에서 제품의 기능을 정의한다는 것입니다
- 테스트
- 유저 스토리
→ pm 은 ui 가아니라 위와 같은 문서를 주로 작성한다.
→ 스토리보드는 ppt로 제작해 검색이 어려운데 이런 건 위키로 되어있어서 검색이 용이하다.
→ 유저 스토리는 고객 입장에서 고객이 원하는 것을 고민하는 것으로 서비스 기획과 view(관점)이 많이 다르다.
'📊 study > PM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의후기] 그로스쿨(groschool) ux 라이팅 - 고객경험을 위한 글쓰기, UX 라이팅의 전략과 사례 (0) | 2021.10.10 |
---|---|
[아카이브] 프로덕트매니저PM가 되기에 도움이 되는 매체 모음 (0) | 2021.10.10 |
[강의요약] 7강 - 제품 관리자(PO,PM)의 Product 일정관리 노하우! - 데이먼 인프런 (0) | 2021.08.19 |
[강의요약] 6강 - 잘하는 기획자의 기준은 무엇인가? - 인프런 데이먼 (0) | 2021.08.18 |
[강의요약] 5강 -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뽑은, 내 인생 최고의 Product Manager! - 인프런 데이먼 (0) | 2021.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