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이너와 개발자가 뽑은, 내 인생 최고의 Product Manager!

https://youtu.be/U3JhQlTFxWw

 

내 인생 최고의 프로덕트 매니저

  • 콘텍스트/데이터/리서치 기반으로 커뮤니케이션
  • 팀원들과 동등한 위치
  • 개발자와 논쟁할 수 있는 지식을 갖춘 pm 이 좋은 pm이다.
  • 로드맵을 지속적으로 리뉴얼하는 것이 좋다.
  • 마감일보다는 해결책에 초점을 맞춘다 → 마감일도 중요하지만 해결책에 초점을 맞추는 게 중요하다. 마감일을 조금 유연하게 조절했다.
  • 고객 중심으로 최고의 제품을 위해 C레벨과 마찰을 이겨냄
  •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 ← 디자인과 엔지니어링에 대한 이 해이 필요. 직접 개발/디자인 하진 않더라도 문제를 직접적으로 집어내는 역할은 필요
  • 해결책보다는 문제를 찾아내고 소통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사용
  • 디자이너와 개발자를 파트너로 대우. 보상보다는 제품 출시에 더 많은 신경을 쓴다.

BEST PM requirement

  • 목표와 비전 설정
    • 왜 이 일을 해야 하는지 비전과 목표를 제대로 설명할 수 있다.
    • 지속해서 사용자, 경쟁사, 시장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제품에 반영
    • 해결책보다는 문제를 더 깊게 고민
  • 의사결정
    • 본인이 아닌 소비자, 비즈니스, 팀을 위한 결정을 내림
    • 중요한 것에 집중하고 불필요한 것들은 걸러낸다
    •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정을 내릴 줄 안다
  • 업무지식
    • 해당 산업의 도메인에 대해 깊게 이해
    • 디자인과 엔지니어링을 이해함
    • 데이터를 제대로 사용할 줄 알고, 데이터를 이해하는 사람과 협업할 수 있다.
  • 커뮤니케이션
    • 팀원 의견을 경청하고 올바른 실행방안을 만든다.
    • 이해관계자에 따라 상황에 맞는 모자를 쓰고 커뮤니케이션
    • 커뮤니케이션 메시지가 잘 되어있고 일관적이고 명확하다
    • 언더 커뮤니케이션보다는 오버가 낫다.
  • 협업
    • 동료를 도구가 아닌 중요한 파트너로 대한다
    • 동료의 업무방식을 존중하고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돕는다 → 마이크로 매니징보다는 역할을 위임함
    • 팀원의 질문 및 요구사항에 제때 답변을 해준다.
  • 태도/자세
    • 제품을 더 좋게 만들기 위해 경영진에 의의를 제기할 수 있다.
    • 피드백을 감정적으로 받아들이지 x
    • 자기 아이디어와 사랑에 빠지지 x


프로젝트 매니저와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
https://youtu.be/pSwnHgh1NzI

 

프로젝트 매니저와 프로덕트 매니저

프로젝트 매니저 \ 프로덕트 매니저

  • 시작과 끝이 있음 \ 제품(지속적인 개선)
  • 브랜드 사이트 구축, 시스템 통합(에이전시, SI기업) \ 페이스북 - 타임라인, 채팅 유튜브 - 큐레이션, 검색 (서비스 기업) → 시간이 지날 수록 고도화, 서비스 다양화
  • Project \ Product
  • 일정내 효율적으로 프로젝트 런칭 → 요구사항(의사결정자의 니즈) 분석이 제일 중요 \ 고객이 원하는 제품 만들기 → 고객의 니즈 발견을 위해 설문, 인터뷰, AB테스트
  • 의사결정자에게 보고하고 컨펌하는 과정의 반복 \ 가설 → 실험 → 분석 → 가설의 반복
  • pm의 역할 - 매니징(제 시간내에 원활히 런칭될 수 있도록) \ 매니징보다는 협업에 가까움 - 실무 기획에도 참여

 

>

서비스 기획이더라도, 프로젝트 매니저가 필요한 경우가 있음

초기 제품 출시단계에서도 프로젝트 매니저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둘다 소화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자!

강의명 : 제품 관리자와 서비스 기획자를 위한 실전 노하우 - 아낌없이 드립니다!

링크 : https://www.inflearn.com/course/%EC%A0%9C%ED%92%88-%EA%B4%80%EB%A6%AC%EC%9E%90-%EC%8B%A4%EC%A0%84-%EB%85%B8%ED%95%98%EC%9A%B0#curriculum

 

B2C 프로덕트 기획 & B2B 프로덕트 기획

https://youtu.be/KTGHPAe26CI

 

B2C : 개인이 사용하는 프로덕트

B2B : 비즈니스 목적, 사업자가 사용하는 프로덕트

  1. o2o] b2c : 배민 / b2b : 배민사장님
  2. 채팅] b2c : 카카오 / b2b : 슬랙
  3. 호텔] b2c : 데일리호텔 / b2b : 온다
  4. 자산] b2c : 뱅샐 / b2b : 더존

[중요포인트]

c : 고객이 가치를 느끼는 제품인가? - 고객만족

b : 사업활동에 도움이 되는 제품인가? - 매출증대, 비용절감

[기획할때의 차이]

c : 고객여정journey를 기준으로. 고객 경험을 최적화하는데 포커스 / 고객들의 숨은 니즈를 발견

b : 새로운것을 제공하면 오히려 혼란을 야기 → 프로세스를 직접익혀서 제대로된 기획을 해야함 → "전문용어사용" / "사용성이 불편해도 꼭 필요한 기능 구현" → 사용성보다는 기능 존재가 더 중요

[데이터 분석]

c : 데이터분석으로 a/b테스트 등등

b : 사업자분석만해도 ok 5명정도

[pm 사용여부]

c : pm이 직접사용하는 제품이기때문에 좀더 흥미를 갖고할수있음

b : pm이 직접사용하지 않는 제품이기때문에 흥미는 낮을 수 있음

[성장성]

c : 고객 니즈를 충족하면 j 커브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음

b : j커브 성장은 어렵지만 유료화가 용이해서 꾸준한 성장이 가능함

[고객확보]

c : 마케팅이 주력방법 → 돈을 태움

b : 마케팅으로는 어려움, 홍보나 영업으로 고객확보

강의명 : 제품 관리자와 서비스 기획자를 위한 실전 노하우 - 아낌없이 드립니다!

링크 : https://www.inflearn.com/course/%EC%A0%9C%ED%92%88-%EA%B4%80%EB%A6%AC%EC%9E%90-%EC%8B%A4%EC%A0%84-%EB%85%B8%ED%95%98%EC%9A%B0#curriculum

 

[무료] 제품 관리자와 서비스 기획자를 위한 실전 노하우 - 아낌없이 드립니다! - 인프런 | 강의

오늘도 현장에서 고군분투하는 <제품 관리자>, <서비스 기획자>를 위한 실전 노하우를 소개합니다., 현업 기획자가 알려주는P.O. / P.M. / 서비스 기획자 업무스킬 대공개 ✨ 강의 소개 Part 1. 제품

www.inflearn.com

 

2강 : 기획자가 필요한 조직, 필요없는 조직! (PO, PM, 기획자)
https://youtu.be/30Ej_bF4 Tu4

 

일반적으로 기획자란? 

IT 기획 사업기획 등등 많음

 

그중 여기서 기획자는 서비스 기획자를 말함

서비스 기획자 :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제품 설계를 담당하는 사람

 

Q. 우리는 고객이 가진 문제와 해결책을 분명하게 이해하고 있고 결과에 대한 확신까지 가지고 있는가?

-> yes -> 빠르게 출시하는 게 중요함. -> 워터폴 방식

-> uhmm,,, -> 잘 모르겠는 경우 가설을 세우고 실험하는 과정이 필요 -> agile 방식

 

1. 워터폴 방식

if, 확신과 아이디어가 있는 클라인트가 SI/에이전시에 의뢰 -> 제작 -> 실무

이때, 기획자의 역할 : 요구사항 분석(클라이언트의, 프로젝트 관련), 제품 설계 업무

제품 설계업무 - 1. IA 설계 2. 스토리보드 제작

ㄴ IA 설계 ->  목표 : 전체적인 범위 파악과 짜임새 있는 구조를 위해

ㄴ 스토리보드 제작 + 서비스 정책 + 기능 정의 + UI 설계

이렇게 제품 설계가 어느 정도 되면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업무 시작함. 

이때부터 기획자는 디자이너, 개발자, 클라이언트 간의 의사소통

이런 조직에서 기획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 이때 필요한 능력

1. 커뮤니케이션 -  ui/ux, 테크, 비즈니스, 문서작업(보고서, 설계문서)

2. ㄴ을 위한 배경 능력 = 커뮤니케이션

 

기획자와 별개로 PM이 있는 경우가 있다.

PM은 기획자가 하는 경우도, 디자이너나 개발 리더가 하는 경우도 있다.

 

[업무방식]

명확한 요구사항 분석 -> 완벽한 제품 설계를 통한 제작

 

if, 인하우스인 경우, 클라이언트가 아니라 사업리더

 

2. agile 방식

조직 구성 - PO, PM이 사업리더 / 디자이너 / 개발자

ㄴ 워터폴 방식과의 차이점 : 기획을 PM, PO, 디자이너, 개발자가 모두 참여함 -> 문제가 주어졌을 때 각자가 가진 전문성을 가지고 아이데이션을 하고 딱 맞는 방법론을 찾아가는 과정을 진행함

기획을 모두가 하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을 다 잘하는 것이 중요함.

하나의 제품을 바라보고 달리는 one-team 구조가 매우 중요함

커뮤니케이션을 모두 디렉트로 함. 유연한 커뮤니케이션

단, 전문성은 구분됨

1. po, pm - 비즈니스/문서작업

2. 디자이너 - ux

3. 개발자 - 테크

 

[문서작업]

워터폴 방식에서 기획자 문서작업은 제품 설계에 중점

애자일에서 PM, PO의 비즈니스 로드맵, 전략적 내용, 유저 요구사항 등

 

애자일에서는 서비스 기획자가 없다 - po, pm에게 가장 중요시되는 역할 1) 제품 로드맵 2) 팀 매니지먼트 + 디자이너 개발자 등으로 구성된 팀을 원팀으로 구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업무 방식]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하는 형식으로 진행함. 이 사이클을 빠르게 진행함

데이터 분석, A/B테스트를 많이 함

ㄴ현재는 앱 중심이므로 애자일 방식이 주된 형태

 

어떨 때 어떤 방식?

 

if 제품에 대한 확신, 타이밍이 있다면 -> 워터폴

if 없다면 -> 애자일 (mvp 형태로 만듦)

 

(병행) if 고객이 없을 때 -> 워터폴로 빨리 만들고 제품 만든 후 애자일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음 

 

(하나의 제품에 두 가지 방식) 사용자에게 wow point 최고의 경험을 주는 것이 중요함.

ㄴ 어드민 페이지, 공급자 계정 등은 요구사항이 명확하고 wow point 가 필요 x -> 이런 경우 워터폴

ㄴ 고객들을 위한 앱은 wow point 중요해서 -> 애자일 방식으로 진행

 

pmpo vs 기획자

기획자는 좀 더 실무에 포커스 - 제품 설계/커뮤니케이션

pmpo - 실무 설계보다는 로드맵/팀 매니지먼트하는 비즈니스적 포커스

ㄴ 물론 회사마다 다르다.

 

기획자가 필요한 조직

1. 사업리더, 제품팀이 있는데 잘 안 맞는 경우. 커뮤니케이션이 잘 안될 때

2. 애자일 방식에서도, 실제적으로 제품 설계해줄 사람이 필요할 때

 

커뮤니케이션이 잘 안되는 경우에 좋은 기획자가 들어오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