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파르타코딩클럽 엑셀보다쉬운 SQL (4주) 33기

2주차 - 수강일자 210921

 

통계

  • 최대 max ()
  • 최소 min ()
  • 평균 avg ()
  • 갯수세기 count ()

묶기 기준 만들기

  • 칼럼(필드) 내 항목으로 그루핑하기 group by 칼럼명
    • group by를 써준다음에는 꼭 select 에 출력하고자 하는 칼럼명을 표기해줘야한다
    • ex. select name, count(name) from users group by name

정렬하기

  • order by 칼럼명 : 오름차순 정렬
  • order by 칼럼명 asc : 오름차순 정렬
  • order by 칼럼명 desc : 내림차순 정렬
  • => where 다음절에 사용. 가장 마지막에

별칭 alias

  • 테이블에 별칭
    • orders 라는 테이블이 있을때 orders o 라고 쓰면 orders 에 o라는 별칭이 생긴거,
    • 따라서, name 이라는 칼럼이 orders 내에 있다면, o.name 이라고 하면 oders의 name을 선택한게 됨 
    • 보통은 별칭은 이니셜 한개에서 두개정도로 작성함
  • 출력된 칼럼(필드)에 별칭
    • select count(*) 를 출력시 필드에 count(*)라고 나오면 무슨 내용인지 출력값을 보고 판단하기 어려움
    • 따라서 이름을 지어준다. select count(*) as cnt -> 이렇게 해주면 출력값에 cnt로 표기된다.

 

2주차 완료 !


 

3주차 강의 기록 - [스파르타코딩클럽] 엑셀보다 쉬운 SQL - union all, left join, inner join, 쿼리 실행 순

스파르타코딩클럽 엑셀보다쉬운 SQL (4주) 33기 3주차 - 수강일자 211002 join 두가지 테이블의 key 칼럼을 기준으로 테이블을 연결해서 하나의 테이블로 표기하는 것 - 두 테이블을 실제로 합치는 게

slowslow.tistory.com

 

.

스파르타코딩클럽 엑셀보다쉬운 SQL (4주) 33기

1주차 - 수강일자 210920

 

기본

  • 쿼리문 : 데이터베이스에 명령을 내리는것
    • CRUD 네가지 메인 액션이있지만 DB관련 직종이 아닌이상 R(read)만 제대로 하면 된다. 
    • 이번 강의에서는 R만 배우기로 한다.
  • 테이블 : 시트
  • 필드 : 컬럼
  • 문자에는 '' 따옴표가 필수 / 또는 ""도 무방
  • 숫자에는 '' 따옴표 미사용
  • SQL은 대소문자를 가리지 않는다. 어떻게 써도 동일하게 인식

where절

  • 같다 : =
  • 다르다 : !=
  • 초과 미만 : > <
  • 이상 이하 : >= <=

조건

  • 포함 : where 컬럼명 in (조건1, 조건2, ... )
  • 범위 : where 칼럼명 between '조건1' and '조건2'
    • ex. between '2021-08-02' and '2021-08-08'
      => 08-02 ~ 08-07 출력. 이상 and 미만
  • 패턴 : where 컬럼명 like '%naver.com'
    • '%d' d로 끝나는 
    • 'd%' d로 시작하는
    • '%d%' d가 가운데 들어가는
    • 'a%b' a로시작하고 b로 끝나는

기타

  • limit # : #개만 출력하기 (where 절 이후에 사용)
  • distinct(칼럼명) : 칼럼명의 중복데이터는 제외하고 (select 절에 사용)
  • count(칼럼명) : 칼러명의 갯수세기 (select count(disntinct(칼럼명)) 으로 주로 사용)

수강시작!


 

2주차 강의 기록 - [스파르타코딩클럽] 엑셀보다 쉬운 SQL

스파르타코딩클럽 엑셀보다쉬운 SQL (4주) 33기 2주차 - 수강일자 210921 통계 최대 max () 최소 min () 평균 avg () 갯수세기 count () 묶기 기준 만들기 칼럼(필드) 내 항목으로 그루핑하기 group by 칼럼명 gr.

slowslow.tistory.com

 

.

생일 선물, 취업 선물을 고르는 건 참 어렵습니다.

상대방이 뭘 원하는지도 모르는데,

상대방이 원할법하면서도 받으면 좋아할 법한

그 무언가를 찾아가는 일종의 게임이죠.

 

이 게임을 조금 쉽게 해결하는 방법은,

선물을 받는 대상이 가지고있는 하나의

일반적인 특성에서 시작하는 겁니다.

예를들어 연령, 성별, 직업, 상황 등이 있겠죠.?

 

오늘은 그중 직업에 해당하는 '개발자'분들을

선물 리스트를 추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발자라는 직업은 특수성이 아주 강해서

직업으로서 선물을 고르기에 상대적으로 쉬운 편입니다.

 

개발자들의 근무 특성

  • PC가 가장 중요한 무기라, PC 관련 액세서리에 투자를 많이 함
  • PC로 하는 업무가 99%
  • 앉아 있는 시간이 99%
  • 반바지와 슬리퍼 출근으로 상징되는 자유로운 출퇴근 복장
  • 자유로운 출퇴근 시간

 

특성을 통해 도출한 선물 리스트

  1. 키보드
  2. 노트북 거치대
  3. 눈 건강
  4. 작업 환경
  5. 사무실 슬리퍼
  6. 노이즈 캔슬링 기기

 

오늘은 이들 중 1,2에 해당하는

키보드와 노트북 거치대에 대한 제품을 모아 왔습니다.

 


키보드

키보드는 노트북 다음으로 개발자들이

가장 큰 투자를 하는 영역입니다.

 

키보드의 세계도 축과 브랜드 무게 등

어마어마하게 깊은 취향의 세계이기 때문에

한 번에 best 제품을 추천드리기보다는,

장르와 브랜드에 따른 제품넘버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축 종류 제품
- 무접점
대부분 키감이 가벼운 편에 속함
사무실에서 사용가능할 정도의 소음
"보글보글" 소리로 가장 호불호가 적음

* 광축이 아니라 정전용량으로 구입해야함.
ABKO HACKER K995P V3

- 적축 / 흑축
소음이 적은편
호불호가 적음
FC750R PD FC750R

 

브랜드
제품
- 가성비 : 앱코 해커
기계식 키보드에서 가성비라인
가격대 : 5만원 이상
ABKO HACKER K995P V3
- 가성비2 : 한성 오피스
빈티지한 감성 디자인이 좋음
가격대 : 8만원 이상
GK898B OfficeMaster
- 프리미엄 : 리얼포스 
개발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브랜드
가격대 : 10~20만원 이상
Topre REALFORCE TKL SA PFU Limited Edition R2 TLSA-US4-IV
- 프리미엄2 : 해피해킹
호불호가 갈릴 수 있으나 가장 고가 라인에 속함
가격대 : 30만원 이상
Professional BT PD-KB600 WN

 

노트북 거치대

개발자들은 노트북만 사용하지 않아요.

외장 모니터를 쓰는 것이 기본이기 때문에

노트북 거치대는 모니터 옆 높이까지

올라가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만족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높이 올라가는 노트북 스탠드

2. 노트북 홀딩이 가능한 모니텀암

 


맥북 정전기 접지하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총정리] 맥북 정전기 접지하는 모든 방법 (돼지코 220V)

[총정리] 맥북 정전기 접지하는 모든 방법 찌릿찌릿하고 간질간질한 느낌은 맥북 사용자들의 공통된 고충입니다. 맥북의 찌릿찌릿한 미세전류는 접지 플러그가 동봉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

slowslow.tistory.com

코로나로 인해 취업난이 심화되고,

개발 관련 직군 연봉 경쟁으로 어느 때보다

개발자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지금이다.

 

그렇기에 사교육 강국인 대한민국은

역시나 이 흐름을 놓치지 않는다.

 

멋쟁이 사자처럼, 스파르타 코딩 클럽,

탈잉, 패스트 캠퍼스, 코드 잇 등

대한민국은 지금 코딩 교육 전쟁 중이다.

 

각 채널마다 강조하는 부분과 전략이 다른데,

그중 오늘은 코드 잇의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출처 : 코드잇

기존의 코딩 강의들이 '직무교육'스러운

접근을 지속해온 것과 반해 코드 잇은

명확하게 타깃을 '20대 대학생/취준생'으로

좁힌 전략을 보이고 있다.

 

코드 잇은 현재 위처럼

대학생 랜선 대외활동 대코캠

을 운영하고 있다.

 

대코캠은

일정 활동기간 동안 코드 잇의강의를 수강하고, 

수료증, 인증서 등의 자료를 제공받는 형태이다.

 

출처 : 코드잇

이 마케팅은 4000명 이상 단위의 지원자를 모집하고

6개월도 안 되는 짧은 기간 동안 5회 차를 진행할 만큼

성공적인 사례로 보인다. 

 

그렇다면 대코 캠은 왜 성공했을까?
필자는 다음과 같다고 생각한다.

🔥'코딩 학습비 지원'이라는 모호한 문장을 사용했다.

  • '지원'이라는 단어로 혼동을 줘 '무료'-'저렴함'을 인식하게 하고
    지원을 결심하게 한다.
  • 그리고 실제 지원하려고 보면, 코딩 교육비 지불이 필요하다.
    이미 지원을 결심하고 일정 확인, 지원정보까지 작성한 후에는
    3만 원대의 소정의 교육비는 "에이 공짜는 아니었네"
    "그래도 저렴하네"라는 방식으로 전환을 용이하게 했을 것이다.
  • 왜냐하면 이미 이들에게 이 프로그램은 '강의를 사는 것'이 아니라
    '대외활동'에 참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대학생들은 '강의를 사는 것'보다는 '대외활동'에 더 큰 가치를 느낀다.
    따라서 투자하려 하는 금액의 규모가 다르다.
    이를 잘 노린 것으로 생각된다.

🔥홍보방법과 신청방법의 디테일

  • 대부분의 코딩 교육은 구글 광고, 유튜브 광고 등
    SNS 광고 매체를 통해서 접하게 된다.
    • 하지만 코드 잇은 '대외활동'으로 포지셔닝 했기때문에
      쓱싹, 올콘, 대티즌, 위비 티 등 대외활동 홍보 채널을 통해
      홍보를 할 수 있었다.

    • 같은 홍보/광고라고 할 지라도, SNS 광고 매체와
      대외활동 광고 매체라는 매체 특성상 기본적인 대중들의
      스탠스가 다를 수밖에 없다.
    • SNS 광고보다 대외활동 광고매체는 더 쉽게 신뢰를 얻을 수 있다.

🔥코딩 교육 홈페이지는 대부분 자사 홈페이지를 가지고 있다.

  • 개발 교육을 하는 곳인데 홈페이지가 없거나 구리다면,
    아무도 그 교육을 신뢰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홈페이지가 있기에, 교육신청은 당연히 홈페이지에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코드 잇도 물론 홈페이지가 있지만,
      대코 캠의 신청은 홈페이지에서 진행하지 않았다. 구글 닥스를 통해 진행했다.
  • 구글 닥스는 대학생들에게 가장 익숙한 신청 툴이다.
    • 특히 동아리, 대외활동의 대부분은 구글 닥스를 통해 신청하기 때문에
      대코 캠이 '강의 구매'가 아니라 '대외활동'이라는 점을
      강조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이 부분에서 코드 잇 기획의 디테일함을 느낄 수 있었다.

 

요약

성공 이유  내용
타겟 전환

'비전공자'로 다소 애매했던 기존 타겟과 달리,
20대 대학생 / 취준생으로 타겟을 구체화/전환했다.
-> 적절한 마케팅 방식을 사용해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쉬워지고, 타겟들의 반응을 이끌기 쉬워졌다.
대외 활동

인강 하나를 듣는게 아니라 스펙, 경험이 될 수 있는 '대외활동'이다.
-> 참여를 독려하고 금전적 투자를 정당화한다.
코딩 학습비 지원

'무료'를 연상시키는 '지원'이라는 모호한 단어로 후킹한다.
-> 고객 구매여정 중 '결정'을 초기에 발생시킨다.
홍보/신청 방법

대외활동 홍보채널, 구글닥스를 통해 진짜 '대외활동'처럼 보이게 홍보를 진행했다.
-> '인강 구매'가 아니라 '대외활동'이라는 점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한다.

 

 

대외활동 홍보 채널에 올라온 대코캠 포스터와 구글닥스를 통한 신청란

 

결론적으로,
코드잇은 기존에 만들어 놓은 강의를 그대로 활용하되
콘셉트만 살짝 비틀어 수천 명의 수요를 만들어 냈다는 점에서
타깃 설정과 적절한 포지셔닝과 IMC의 성공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해당 프로그램이 기존의 대외활동과 성격이 

많이 다르기 때문에 대외활동이라고 불릴 수 있는가?

에 대한 논란이 있을 수 있다.

 

학생들이 직접 어떤 경험과 참여를 하는 것보단, 

강의를 듣고 수료증을 발급받는 것에 초점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외활동"이라는 카테고리에 속하냐 아니냐를 떠나,

기존 코딩 교육 경쟁사들의 관성을 따르지 않고

시장에 새로운 전략으로 도전했다는 점에서

마케팅 전략의 똑똑한 사례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도 코드 잇의 마케팅 전략이 기대된다.


다른 마케팅 사례 보러 가기👇

 

 

[마케팅 전략] 쿠팡은 왜 무료배송인척 연기할까? - IMC, 로켓배송

쿠팡을 이용하다 보면 위와 같은 화면을 자주 마주한다. 로켓 배송, 로켓 와우인 제품들은 당연히 무료배송이지만 그게 아닌 제품들은 단순히 쿠팡이라는 플랫폼에 온라인상으로만 공유되어있

slowslow.tistory.com

 

애플🍎은 왜 각인서비스를 제공할까? [마케팅 케이스 스터디]

애플은 에어팟2 출시를 기점으로 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한글, 영어, 숫자, 이모티콘 등등 언어 지원 범위도 꽤 넓다. 각인 서비스는 대부분 굿즈류를 판매하는 판촉물 기업에서 많이

slowslow.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