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류 신세계백화점 상품권을 현금으로 인출하는 방법 2024년 3월 버전

아래방법은 종이로된, 지류 신세계백화점 상품권을 현금으로 바꾸는 방법을 다룹니다.

기프티콘과같은 온라인 상품권은 아래 방법으로 바꿀 수 없습니다.

기프티콘은 유효기간이전에, 신세계백화점 고객센터로 직접 방문하여 교체받습니다.

 

[1] SSG PAY에 상품권 등록

1.  SSG PAY 앱 다운로드

2. 회원가입/로그인

SSGPAY를 이용한적이 없다면 회원가입. 이용한 적이 있다면 로그인합니다.

 

3. 결제 > SSG MONEY > 상품권

결제 탭에서 SSG MOENY 선택.

SSG MONEY 영역에서 상품권 클릭.

 

4. 결제 > SSG MONEY > 상품권 > 신세계 상품권

위에서 2번째 신세계상품권 선택

 

5. 상품권 번호, PIN 번호 입력

지류상품권 뒷면의 상품권 번호와, 앞면 홀로그램 안에있는 PIN 번호를 입력합니다.

 

6. 충전완료

여기까지 됐다면 충전완료입니다.


[2] SSG PAY에서 계좌로 출금

1. 쓱머니 > (하단으로 내리고) 충전머니 출금

다른 블로그나 가이드에 있는것과 달리, 출금하기는 쓱머니탭에 있습니다.

2. 약관 동의 및 출금 진행

계좌 등록이 안된경우 계좌 등록 과정 필요

이때, 수수료 5% 차감 후 출금됨

출금신청 후 출금완료까지 최대 1시간 소요

3. 출금확인

4. 끝.

캡슐 호텔 한칸

 

비용은 하루에 3~5만 원 수준

에비스역 근방에 위치 매우 가까움

캡슐 호텔로 1인이 자기에는 적절함

조리공간 없음

별도의 작업공간은 없음 (책상 공간 없음 따로 카페 가야 함)

식사는 안내데스크가 있는 층에서 먹을 수 있음. 방 안에서 식사 불가

캐리어 보관 락커랑 화장실이 같은 층에 다른 영역에 있음

전체적으로 환기가 안되고 먼지가 많음 공기가 안 좋음.

화장실이 작음. 샤워실은 다른 층에 있음. 불편함.

방안에 환기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음 (이건 좋음)

안내데스크는 24시간 동안 운영함. 나갈 때 카드키를 반납해야 함 (귀찮음)

샤워기가 있는 층에 사우나실이 있음. 추가비용 없음. 

샤워실이 환기가 안되고 짐 놓을 곳이 마땅치 않고 바닥에 물이 많아서 미끄러질 가능성이 높음 엄청 불편함. 

특이하게 서양인이 엄청 많음.

한 번은 재밌어서 가보겠으나, 두 번은 안 갈 것 같음

 

예약 링크 : 아고다 > https://www.agoda.com/ko-kr/do-c-ebisu_2/hotel/tokyo-jp.html?ds=KcSFVFGmgr%2FoIN42

 

도쿄 / 동경의 두-c 시부야 에비스 | 예약 무료 취소, 2021 요금 정보 & 이용후기

일본 도쿄 / 동경 소재 두-c 시부야 에비스에는 예약 무료 취소 가능한 객실 상품이 있습니다. 도쿄 / 동경 에비스 지역에 있는 두-c 시부야 에비스은(는) 캡슐 호텔 숙소로, 편안한 숙박을 제공합

www.agoda.com

 

캡슐호텔 장점

- 캡슐호텔은 혼자 여행 갈 때 저렴하게 묵기에는 나쁘지 않은 숙소 같다. 보통 일본 호텔이 하루에 최소 10만 원 수준인걸 생각하면, 캡슐호텔은 3~5만 원 수준이라 비용적으로 확실히 장점이 있다.

- 옆칸 위칸 다른 사람들이 자고 공용공간이 많기때문에 다른사람 구경하는 걸 좋아한다면 나쁘지 않을 것 같다. 그렇지만 게스트하우스처럼 사람들이랑 파티하고 친해질 수 있는 기회는 보통 없다.

 

캡슐호텔 단점

- 닭장 같다. 방음이 잘 안 되니 시끄럽고. 예민한 편이라면 '휴식'은 어려울 가능성이 크다.

- 캐리어를 펼치고 짐을 꺼내고 할 공간이 너무 적어서, 짐정리를 다시 하기에는 아주 어렵다.

- 샤워를 하러 다른 층을 가야 하는데, 보통 사람은 많고 엘리베이터는 하나라 엘리베이터 기다리는데 시간 다간다.

- 샤워하러 샤워도구와 옷을 챙겨서 다른 층에 가야 하는 것도 불편하다.

- 경우에 따라, 전자레인지 같은 최소한의 조리도구나 식사할 공간, 작업공간(책상)도 없는 경우도 있다.

- 기본적으로 공용공조이기 때문에 별도로 에어컨/난방기를 컨트롤할 수 없다. 경우에 따라 춥거나 더울 수 있다.

 

느낀 점

여러 가지 숙박문화와 방식이 있고, 캡슐호텔은 하나의 체험에 가까웠다. 비싼 일본의 호텔의 하나의 해결책으로 캡슐호텔이라는 개념이 등장했고, 가격이 중요한 배낭 여행객들이 많이 찾는 것 같다. 자그마한 냉장고에서 자는 느낌이었는데 잠만 자기에는 불편함은 없었다. 

그렇지만 일어날 수 없기 때문에 침대에서 나갈 때마다 꿈툴꿈툴 엉덩이를 비비면서 나가야 하는 점, 다른 방의 소리가 아주 잘 들리는 점 등은 확실히 불편한 점이었다. 방음 문제와 이동문제만 해결해 준다면 더 많은 사람들에게 메리트가 있는 숙박 유형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리고, 아무래도 여행객들이 많이 찾는 숙소이다 보니 게스트하우스처럼 체류하는 여행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벤트나 커뮤니티성 프로그램이 있으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결국 호텔은 하나의 서비스와 같다. 타깃은 누구인지 이곳을 왜 방문해야 하는지, 비슷한 숙소 중에서 이곳을 선택해야 하는 메리트는 무엇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일본 도쿄 시부야역에는 짐보관소는 지도에 원활히 나오지 않는곳들이 좀 있어서
여행가실분들을 위해 정리해둡니다.

 

1. 시부야상 shibuya-san

사람이 있는, 유인 관광안내소이고 짐보관 업무도 하고있습니다.

 

가격 : 유료 / 작은가방 : 500엔 / 큰가방(캐리어) : 1000엔

카드결제/현금결제 모두 가능

비용은 하루 기준으로, 받음. 비쌈.

 

유의사항 : 유인으로 운영되므로 영업시간내에 맡기고 가져갈수 있음. 오전 10시부터 저녁 7시반까지.

저녁 7시반 이후에는 짐을 찾으러 올 경우 추가금이 발생함.

운영시간이 짧아, 운영시간보다 늦을 경우 비용이 더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 큰 단점

 

위치 : https://maps.app.goo.gl/6KeHS2knBgLQC6m36

 

시부야상 · 일본 〒150-0043 Tokyo, Shibuya City, Dogenzaka, 1 Chome−2−3 渋谷フクラス 1F

★★★★★ · 관광 안내소

www.google.co.kr

 

가는길

시부야역에서 서쪽출구로 나온다음, 길 하나 건너서 왼쪽으로 돌아가면 됩니다. 가는길에 shibuya-san 이라는 간판이 있어 따라 가면 됩니다. 

 

출구로 나오면 보이는 뷰. 간판따라 가면 됩니다.
바로옆에 스타벅스가 있습니다.
들어가면 한국어 안내판을 보여줍니다.

희망하는 찾아오는 시간을 적을 수 있지만 의미는 없습니다.

가방사이즈에 따라 비용이 다르고 다소 비싼편입니다.

빌리고나면 번호카드를 주고, 이 카드를 돌려주면 맞는 가방을 돌려받는 방식입니다.

 

 

2. 서쪽출구 코인락커 coin locker

시부야역 서쪽출구에는 지도에는 나오지 않는 코인락커가 많이 있습니다.

붉은색 네모영역이 공사중인 영역이고 파란색이 코인락커가 있는 영역입니다. 

 

가격 : 유료 / 작은칸 : 400엔 / 중간칸 : 500엔 / 큰칸 700엔

카드결제/현금결제 모두 가능

비용은 하루 기준으로, 받음. 유인 짐보관소보다는 저렴함.

 

구글맵 : https://maps.app.goo.gl/ceXG8Fx8J3uJdSpx8

 

南館 7階 東急東横店 · 일본 〒150-8319 Tokyo, Shibuya City, Shibuya, 2-chōme−24−1 南館 東急東横店

일본 〒150-8319 Tokyo, Shibuya City, Shibuya, 2-chōme−24−1 南館 東急東横店

www.google.co.kr

 

유의사항 : 짐 맡긴이후에 QR코드가 적인 영수증을 주는데 이 영수증을 분실하면 짐을 찾을 수 없음. 영수증을 잘 보관해야한다.

무인으로 운영되므로 영업시간관 관계없이 맡기고 찾을 수 있는게 큰 장점.

작은칸도 생각보다 내부가 넓어서 작은 캐리어는 들어갈 수 있는 사이즈.

 

 

 

3. 북쪽출구 코인락커 coin locker

서쪽과 동일하게 북쪽출구에도 락커들이 있습니다.

 

가격 : 유료 / 서쪽출구보다 더 다양한 형태로 있음 최대 900엔

카드결제/현금결제 모두 가능

유의사항 : 서쪽출구의 코인락커와 동일.

구글맵 : https://maps.app.goo.gl/PjKUVNSMpZjneQSH9

 

スクランブルスクエア 22F · 일본 〒150-0043 Tokyo, Shibuya City, Shibuya, 2-chōme−24−12 スクランブルス

일본 〒150-0043 Tokyo, Shibuya City, Shibuya, 2-chōme−24−12 スクランブルスクエア

www.google.co.kr

 

 

4. 시부야역 시카미치 라운지 shibuya chikamichi lounge

시부야역 시카미치라운지에 유인 짐보관소가 있습니다.

가장 유명한시부야 크로스 바로 옆입니다

가격 : 유료  1개당 900엔 (비쌈)

특이사항 : 운영시간은 10시부터 20시로 제한적입니다.

 

구글맵 : https://maps.app.goo.gl/w2sCnS6asri59fJLA

 

Shibuya Chikamichi Lounge · 2 Chome-1-1 Dogenzaka, Shibuya City, Tokyo 150-0043 일본

★★★★☆ · 라운지

www.google.co.kr

 

 

5. 기타 꿀팁

구글맵은 아무래도 글로벌 플랫폼이다보니 한글로 검색했을때보다 영어로 검색했을때 검색이 훨씬 더 잘됩니다.

짐보관소라고 검색할때랑 coin locker, luggage deposit 이라고 검색했을때 검색량이 다릅니다.

때문에 영어로 검색하는것을 추천해요.

 

구글맵 : https://www.google.co.kr/maps/search/coin+locker/@35.6587815,139.7005938,18.36z?hl=ko&entry=ttu

 

Coin locker

 

www.google.co.kr

 

나는 원래 목표를 잘 세우는 편이 아니다. 

그 이유는 목표를 세워봐야 잘 이뤄지지도 않고, 목표를 계속 바꾸고 스스로 합리화하는 과정들이 더 피로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올 2023. 09. 오랜만에 목표를 세웠다. 내용은 '수익 증대'였다. 

목표를 세우지 않기로 스스로 약속(?) 했던 내가 목표를 세우게 된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목표가 생겨서였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는, 얻고자 하는 바가 생겼고 단기간에 얻을 수 없으니 구체적인 이니셔티브를 세운 것이다. 

 

어쩌면 이제까지 내가 목표를 세우지 않는 것을 고집했던 것은, 취하고 자하는 바가 없었거나, 정신적으로 피로했기 때문 일지 모르겠다. 

 

수익증대 하기 위해서 아래의 이니셔티브들을 나열했다.

 

모든 것은 수익을 증대시키는 하나의 골에 맞춰져 있었고, 장/단기적으로 사이드프로젝트, 새로운 파이프라인 성장, 커리어 성장 이렇게 나눠져 있었다. 

 

하지만 2023.12.31 기준으로, 14개의 이니셔티브 중 Done으로 완료한 것은 단 2개밖에 없다. 

가장 어려운 이직하기와 가장 쉬운 Social Media 만들기 단 두 가지뿐이다.

: 14%의 목표달성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나는 왜 14% 밖에 달성하지 못했을까? 원인을 생각해 보자.

 

1. 이직하기 하나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도 벅찼다.

같은 레벨로 14개가 작성되어 있지만 실제적으로 이직완료하기는 다른 것들보다 사이즈가 훨씬 컸고 들어간 공수가 사이즈가 달랐다. 

 

> 다음에는, 이니셔티브를 설정할 때, 그 태스크의 사이즈를 잘 고려해야 할 것 같다. 너무 큰 것은 더 적게 쪼개서 적어야 한다. 

 

2. 사실 이니셔티브들이 무엇이 있었는지도 아예 까먹었다.

연말 분위기가 물씬 나던 어느 날 나는 올해 뭐 했지? 뭔가 적어놨던 것 같은데?를 생각하게 된 그 순간 전까지 나는 이 이니셔티브들을 아예 기억하지 못했다. 

 

> 이니셔티브들을 계속 기억하고 내가 진행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노션 홈 또는, 맥북/폰의 위젯으로 이니셔티브들의 진척상황을 노출시켜, 스스로 계속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3. 이니셔티브에 적어두지 않은 다른 것들을 했다.

이니셔티브에 적어두진 않았지만, 같은 목표를 위해서 했던 프로젝트들이 있다. 크진 않지만 유의미한 파이프라인이 되어주었다. 

이것도 결국 2의 문제에서 파생되었다고 생각한다. 

 

> 이니셔티브의 변동이 있을 때는 미리미리 반영해 두자. 실현/액션 가능성이 높은 이니셔티브를 적자.


오브젝트

 

2023년 하반기는 14% 밖에 안 되는 이니셔티브 달성율을 보였지만, 그것보다 많은 것을 취하고, 도전한 시간이었다.

2024년 한 해도 나에게 기억에 남는 것들이 많은 시간들이 되었으면 한다.

+ Recent posts